본문 바로가기

현장

재개발과 도시재생의 맥락

지역소외 이야기를 하다 갑자기 도시재개발 문제와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들었습니다.

 

재개발로는 1~5지구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창원시 회원동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재개발은 결국 인간 소외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저곳에 살던 사람들이 자기 터전에서 쫓겨났으니까요.

 

저기다 아파트 지으면 그 사람들이 다시 돌아올까요?

 

그 반의 반도 돌아오지 못한다고 창원시 재개발지역 주민들은 입을 모읍니다.

 

 

 

 

그래서 이렇게 끝까지 터전을 지키려는 거죠.

 

아파트 재개발 급류에 휩쓸리지 않으려고 말입니다.

 

 

 

 

 

이어 도시재생사업을 소개했습니다.

 

도지재생사업으로는 부산시 범천동·범일동·좌천동 예를 들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은 50년 이상 오래된 집도  뜯지 않더군요.

 

 

 

 

그래서 부산 도심지 산골짝 달동네 주민들이

 

제 터전을 빼앗기지 않고 그대로 살고 계십니다.

 

원주민의 주거권 보호,

 

이게 주택정책의 기본이 돼야 하지 않겠습니까.

 

 

...

 

경남대 대학원 도시재생학과 정규식 교수가 이런 말씀을 했습니다.

 

지금 마산에 아파트가 철철 넘치는데도 계속 재개발을 하고 아파트를 짓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

 

에 살던 원주민들은 새로 아파트를 살 처지가 안 되니까 본래 살던 터전에서 쫓겨납니다.”

 

이런 악순환이 계속 반복되는 이유도 결국 지방분권이 안 되기 때문 아닙니까? 지방정부가 주택

 

수급을 조절할 권한을 갖고 있다면 이렇지 않겠지요.”

 

 

 

 

그의 말은 아파트건축 인허가나 재개발 승인을 지방정부가 한다지만, 이를 넘어서는 권력을 자

 

과 시장이 쥐고 있는 현실을 전한 것입니다.

 

재개발조합과 건설업체가 요건 다 갖추고 들이대면 막을 방법이 없으니까요.

 

도심지 재개발문제는 그렇게 인간 소외, 지역 소외 현상과 맥락이 닿아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2018년 10월 13일.